'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라는 자격증을 알고 계시나요?
저는 이 자격증의 이름이 낯설게 느껴지는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미술관의 큐레이터나, 박물관에서 도슨트의 역할을 해주시는 분들이 많이 취득하는 자격증으로 설명하는 게 더 쉬울 것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자격증은 박물관, 미술관, 유적지, 기념관 등 문화유산 기관에서의 전문가로서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취득하는 자격증이라 볼 수 있는데요.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고 어떠한 분야에서 일을 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
1. 취업 가능 분야 2. 필요 역량 3. 직무로 나누어 보기 4. 직군으로 나누어 보기 |
<<<취업 가능 분야>>>
1. 국립박물관, 박물관 및 미술관
2. 유적지, 기념관
3. 문화원, 문화재연구소
4. 문화유산 관련 연구기관
5. 교육 및 기관 등
<<<필요 역량>>>
1.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와 관심
한국의 역사, 문화, 미술 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또한 문화유산의 중요성과 역사적 배경에 대한 지식을 보유해야 합니다.
2. 미술 및 문화유산 이론
미술사와 문화유산 이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발전 과정과 주요 작품들에 대한 학습이 필요합니다.
3. 박물관 및 미술관 운영 이해
박물관과 미술관의 운영 원칙과 기본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이해해야 합니다. 전시물의 선택, 구매, 보관, 전시 등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4. 전시 기획 및 디자인
전시물을 주제에 맞게 선정하고 배치하는 기획 능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전시 공간을 디자인하고 조성하는 능력도 필요로 합니다.
5. 문화유산 보존과 관리
문화유산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를 보존하고 유지를 위한 전문적인 기술과 방법론을 익혀야 합니다.
6.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교육 능력
관람객과의 소통과 관람객에게 전시물에 대한 해설을 제공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7. 연구 및 분석 능력
문화유산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며 전시물에 대한 연구와 해석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전시물을 보다 잘 이해시킬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직무로 나누어 보기>>>
1. 전시 기획 및 관리
● 전시물 선정 :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주제에 맞게 전시물을 선정하고 컬렉션을 조직합니다.
● 전시물 배치 및 디자인 : 전시물의 배치와 디자인을 계획하고 전시 공간을 조성합니다.
● 전시물 관리 : 전시물의 보존과 유지 관리를 담당하여 보존 상태를 유지합니다.
2.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교육 프로그램 개발 :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계획합니다.
● 교육 활동 진행 : 전시물 해설, 워크숍, 특별 강연 등의 교육 활동을 진행하여 방문객들의 문화 경험을 높입니다.
● 교육 자료 제작 : 교육용 자료나 가이드북을 제작하고 관리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3. 커뮤니케이션 및 방문자 서비스
● 방문자 안내 및 서비스 : 방문자들의 안내와 질문에 대답하고, 관람에 대한 도움을 제공합니다.
● 커뮤니케이션 :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홍보 활동을 담당하고, 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활동을 진행합니다.
● 웹사이트 관리 :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웹사이트를 관리하고 콘텐츠를 업데이트합니다.
4. 문화유산 보존과 연구
● 문화유산 관리 : 박물관의 소장품이나 전시물의 보존과 관리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합니다.
● 연구활동 : 문화유산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물을 발표합니다.
● 필드 조사 : 유적지나 역사적 장소를 조사하고 문화유산을 발굴하여 보존합니다.
5. 특별 전시 및 이벤트 기획
● 특별 전시 기획 : 주제에 맞는 특별 전시물을 기획하고 전시합니다.
● 이벤트 기획 :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다양한 이벤트를 기획하고 주관합니다.
● 공연 및 강연 조직 : 문화 이벤트나 특별 프로그램을 조직하여 방문자들의 관심을 유도합니다.
6. 연구 및 학술 활동
● 학술 활동 : 문화유산에 관한 학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논문을 발표합니다.
● 학술대회 참석 : 관련 학술 대회나 세미나에 참석하여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네트워킹을 합니다.
● 연구 지원 : 연구자들을 지원하고 자료를 제공하여 연구 활동을 돕습니다.
7. 관리 및 운영 업무
● 기관 운영 :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일상적인 운영과 관리를 담당합니다.
● 인력 관리 : 직원들의 스케줄 조정, 업무 분배 등을 관리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돕습니다.
● 예산 관리 : 운영 예산을 관리하고 효율적인 자원 사용을 계획합니다.
<<<직군으로 나누어 보기>>>
1. 미술관 및 박물관 직군
(1) 큐레이터(Curator)
●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전시물을 선정하고 전시를 기획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 전문적인 미술사 지식과 문화유산 이론에 기반한 전시를 계획하고 관리합니다.
(2) 전시기획자(Exhibition Planner)
● 전시물의 주제, 내용, 배치, 디자인 등을 계획하고 조정합니다.
● 큐레이터의 계획을 바탕으로 전시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책임집니다.
(3) 전시 디자이너(Exhibition Designer)
● 전시물의 배치, 조명, 디스플레이 등을 디자인하고 구성합니다.
● 전시물이 관람객에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전시 공간을 디자인합니다.
(4)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Education Program Developer)
● 방문객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합니다.
●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람객들에게 전시물에 대한 교육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2. 문화유산 관리 및 보존 직군
(1) 보존 전문가(Conservator)
● 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에 전문적으로 참여합니다.
● 작품의 손상을 예방하고 복원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2) 유적지 및 문화재 관리자(Heritage Site Manager)
● 유적지나 문화재의 관리와 보존을 책임집니다.
● 방문객의 안전과 문화재의 지속적인 관리를 담당합니다.
3. 방문자 서비스 및 해설 직군
(1) 도슨트(Docent)
●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방문객에게 전시물에 대한 해설과 안내를 제공합니다.
● 관람객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전시물을 이해하고 즐기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마케팅 홍보 담당자(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Specialist)
● 문화유산 기관의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합니다.
● 관람객들에게 무화유산 기관의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알리고 홍보합니다.
4. 연구 및 교육 직군
(1) 연구원(Researcher)
●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 문화유산의 역사, 예술적 의미, 보존 방법 등을 연구합니다.
(2) 강사 또는 교육자(Instructor or Educator)
● 문화유산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거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식을 전달합니다.
● 학교나 문화 교육 기관에서 문화유산 교육에 관련된 역할을 수행합니다.
5. 기타 직군
(1)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Digital Content Creator)
● 문화유산을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합니다.
● 온라인 전시, 가상 투어, 영상 콘텐츠 등을 개발하여 관람객들에게 제공합니다.
(2) 문화유산 컨설턴트(Cultural Heritage Consultant)
● 문화유산 관련 기관이나 프로젝트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보존, 전시, 교육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문적인 조언과 지원을 제공합니다.
위와 같이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나면 어떠한 직업 영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지 알려드렸습니다.
문화유산 관리와 전시, 교육, 보존, 연구, 해설,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는 것을 알아보았는데요. 본인의 성향과 관심분야에 따라 다양한 직군에서 활동할 수 있으니 그런 분야도 함께 공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해당 자격증을 알아보고 공부하시는 모든 분들께, 합격길, 취업길이 활짝 열리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