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조건 지원 대상 완벽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조건 지원 대상 완벽 총정리

by info_Z 2024. 1. 10.
728x90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목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금융 상품으로 매월 1천원에서 70만원 한도내에서 5년간 자유롭게 적금을 납입하면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해주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에 도움을 주는 상품입니다.  한마디로 적금 만기시 원금과 함께 은행적금이자 6%(최대) + 정부기여금 6%(최대)를 더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다만 개인의 소득 및 조건에 따라 기여금 지급한도가 달라지니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목   차
- 청년도약계좌 지원대상
-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 청년도약계좌 은행
-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 청년도약계좌 가입 유의 사항

 

2024년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지원대상

해당 상품은 아래의 4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 1가지라도 결격 사유가 발상한다면 가입이 불가능하니 꼭 조건을 꼼꼼하게 살펴 주시기 바랍니다. 

 

1. 나이

계좌 가입일을 기준으로 만 19세부터 34세 이하가 가입할 수 있으며, 이중 병역이행기간(최대6년)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개인소득 

근로자의 경우 총 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여야 하며,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단,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수당외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되니 꼭 체크하서야 합니다. 

또한 적금 가입일 기준으로 직전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인되지 않는 기간에는 전전년도 소득으로 적용됩니다!

 

3.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기구소득 또한 적금 가입일 기준으로 직전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인되지 않는 기간에는 전전년도 소득을 적용하는데,

현재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80%는 아래 표로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180%(연)
1인 가구 42,007,939
2인 가구 70,417,836
3 인 가구 90,605,542
4 인 가구 110,615,328
5 인 가구 130,129,524
6 인 가구 149,191,286
7 인 가구 168,060,787

*가구소득 조회를 위해 동의서가 필요합니다. 기한내에 가구원 모두가 동의를 해야 심사가 진행되니 참고 바랍니다.

 

4.금융소득종합과세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년이내에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아야 합니다.

 

 

728x90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1. 신청기간

2024년 1월 2일 ~ 2024년 1월 12일로 현재 신청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해당 신청일을 놓치셨더라도 2월에 새로운 가입일정이 뜨면 업데이트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요건확인

해당 신청기간내에 신청하신 분들은 조건확인 기간이 2주정도 소요됩니다. 2024년 01월 15일 ~ 2024년 01월 26일까지 신청자의 결격사유가 없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3. 계좌개설

1인가구의 계좌 개설일이 먼저 2024년 01월 18일 ~ 2024년 01월 26일까지 시작됩니다. 가입 요건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해당 기간에 가입하시면 되고, 가입 자격요건을 갖춘 모든 신청자들은 2024년 01월 29일 ~ 2024년 02월 08일까지 가입하시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SC제일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으며, 창구 및 모바일앱을 통해 비대면 가입신청도 가능합니다.  은행별로 다르지만 대부분 4.5%대의 기본 금리가 제공되고, 우대금리를 포함했을때 6%까지 받을 수 있으므로, 본인이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은행으로 꼭 비교해보시고 가입신청을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기본 은행 적금이자를 챙기셨다면 이제 정부 기여금을 확인해 봐야겠죠.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정부기여금의 지급  한도는 개인소득에 따라 달라지니 표를 통해서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개인소득 기준 정부기여금
지 급 한 도 매 칭 비 율 한     도
총급여 2,400만원↓
(종합소득 1,600만원 ↓)
40만원 6.0% 24,000원
총급여 3,600만원↓
(종합소득 2,600만원 ↓)
50만원 4.6% 23,000원
총급여 4,800만원↓
(종합소득 3,600만원 ↓)
60만원 3.7% 22,000원
총급여 6,000만원↓
(종합소득 4,800만원 ↓)
70만원 3.0% 21,000원
총급여 7,500만원↓
(종합소득 6,300만원 ↓)
- - -

 

정부기여금의 지급한도는 월 불입액 중 한도 금액을 설정하여 해당 한도금액 까지만 매칭 비율로 기여금을 지급한다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총급여 2,400만원 이하의 가입자가 월 70만원씩 불입한다고 하여도 기여금 지급한도인 40만원에 대하여 6%를 적용한 24,000원을 지급한다는 것인데요.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신청자가  월 70만원 불입 : 지급한도 40만원x6% = 24,000원 기여금 지급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신청자가  월 40만원 불입 : 지급한도 40만원x6% = 24,000원 기여금 지급

위와같이 월 적금가입액이 높다고 기여금을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소득이 높은 사람은 가입한다고 하여도 기여금이 없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유의 사항

*해당 계좌는 은행별로 1개가 아닌 취급 은행 전부를 통틀어 1개의 계좌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현재 청년희망적금 가입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가입후 1년 주기로 유지심사를 통해 기여금 지급여부 및 규모가 조정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드렸는데요. 

요금 같은 시기에 100만원 이상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좋은 제도로 청년들의 목돈 마련에 큰 힘이되는 정책이니만큼 가입 조건이 되시는 분들은 많이 신청하시면 좋겠습니다. 

 

728x90